- 수집목적 : 이벤트 당첨자 기프티콘보상
- 수집항목 : 이름, 휴대폰
- 수집 보유 및 이용기간 : 이벤트 기간 동안 사용 후 폐기
- 동의 거부 시 불이익 내용
- 이용자는 위와 같은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경우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농촌관광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온라인 투표 이벤트!!
“참신한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여러분의 선택을기다립니다!”
아이디어 제안(대학생) 1개, 아이디어 제안(일반인) 1개, 논문(대학원생, 일반인) 1개 이상 선택해야 투표가 가능하며, 본 온라인 투표 이벤트는 ID당 1회만 참여 가능
★ 발표심사 대상자만 투표 결과 공지, 가점 반영 예정
※ 공모 요강에서 정한 제출 양식을 준수하지 않은 제안서는 투표 대상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또한 향후 심사 과정에서 신청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 제안서나 논문으로 확인될 경우, 서면 심사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전체.136
투표 | 제목 | 이름 | 제안내용 |
---|---|---|---|
|
결혼 전에 마주한 첫 번째 골짜기?! 곡(谷)소리 나는 스냅 여행 |
이현주외2명 | |
|
으뜸촌의 공백을 메우는 한 사람, 공유사무장 |
박유빈외2명 | |
|
이천 디지털 FREE 어드벤처 |
박효준외1명 | |
|
농촌에서 피어난 로맨스: 농맨스 |
안지효외2명 | |
|
청년 인턴 연계형 농촌 맛집 리모델링 사업 |
한상미외2명 | |
|
느리게 걷고, 함께 웃고, 마음을 나누는 마을 속 힐링여행-청정지역 교동도애서의 휴식 |
박지혜 | |
|
마을ON 프로젝트-교육 연계와 제도화를 통한 지속가능 농촌관광 정책 제안 |
박지원외2명 | |
|
이 맛에 하루 더, - 로컬맛집인증제와 숙박패키지의 만남 |
조민교외2명 | |
|
<쉼은 흙에서 시작-쉼을 수확하다> 양주에서 실현하는 농촌 힐링 관광 |
허재민 | |
|
와유 스탬프 투어(feat. 충북 지역화폐 와유페이)-충북에 오면~스템프 투어하고~특산품도 받고~전통시장도 살리고~ |
이서진외1명 | |
|
촌스런 인연-도시 청년과 시골 어르신이 정서적으로 연결되는 시니어 가이드 투어 |
김수연외1명 | |
|
펫트립 AI를 활용한 반려인 맞춤형 농촌관광 활성화 방안 |
서주원 | |
|
로컬키친어드벤처 in JEJU-파지농산물 구출 대작전! |
장혜원 | |
|
사랑이 '일'어나는 마을-일과 사랑이 동시에 자라는 새로운 방식의 농촌 체류형 소개팅 프로그램 |
오준수외2명 | |
|
2주 체류형 프로그램 모델화를 통한 농촌 관광 활성화 |
원호준 | |
|
RE:MEMBER 청춘학교 - 그 시절, 우리 반 학생이었던 당신에게 |
심새날 | |
|
강원도 정선 마을형 스테이(호텔)-정다운 농촌 공간과 호텔을 결합한 체류형 관광 모델 |
윤수빈외2명 | |
|
피크팜(PEAKFARM) 농촌 둘레길 스탬프 로드맵 |
전예원외2명 | |
|
촌스런 캠퍼스-폐교를 활용한 MZ세대 체류형 농촌 리얼리티 관광 프로그램 |
이태린 | |
|
머물고 싶은 농촌: 빈집을 품은 로컬 BnB 및 품질인증 모델 |
박주현 | |
|
리:스페이스(RE:SPACE)-농촌에 머물고 싶은 경남 하동 체류형, 감성 관광 프로젝트 |
김영빈외2명 | |
|
(농촌상생 프로젝트)머무는 농촌:H(a)H(a) Project-한반도의 땅끝 마을 해남, 풍요와 시작의 땅 |
서예진외1명 | |
|
주(酒)토피아 in 여주 |
이은진외1명 | |
|
무주의 고요를 수확하는, 농담 스테이 |
이유정외1명 | |
|
‘먹모’ 먹고 모으자-방문, 탐방 기반 농촌관광 프로그램 |
이하늘 | |
|
스마트 힐링 로드: 농촌을 살리는 웰니스-스포츠 융합관광 플랫폼 |
김혜림외1명 | |
|
농촌과 소비자의 매개체, 농촌관광 협동조합 설립 |
김한빛 | |
|
서산에서 나만의 아지트를 꿈꾼다, ‘아지촌’프로젝트 |
전연진외2명 | |
|
민박 예약 플랫폼 가밧지 (Hav u eret traveled?) - 가성비 숙소의 새로운 트렌드 - |
임용수 | |
|
촌터뷰, 촌로그, 촌캉스 |
박세린 | |
|
나도 주말농부! |
최만국외1명 | |
|
리틀포레스트 |
박수빈 | |
|
고향사랑기부제로 되살리는 추억의 공간:폐교를 활용한 안동의 노스텔지아 관광 활성화 방안 |
김지윤외2명 | |
|
재농기부-농촌의 빈집들을 호텔로 탈바꿈해 마을을 하나의 호텔로 만드는 재능기부 봉사관광 프로젝트 |
김유빈외2명 | |
|
<농.징.어 게임>: 농촌에서 징하게 어울려 살자 |
윤주성외1명 | |
|
6차 산업과 애정의 중심, 농 촌 |
김채영외1명 | |
|
모여봐요 고흥의숲-아무것도 없기에 무엇이든 할 수 있다. |
홍혜은외1명 | |
|
농촌에서의 결혼식 |
남현빈 | |
|
로컬로그 : 창녕에서 남기는 하루 기록 |
김재윤외2명 | |
|
무인역과 마을이 만나다 : 보성 명봉역 체류형 농촌관광, RE: 스테이션, RE: 하우스 |
박세은외1명 | |
|
느림의 미학으로 묶는, 지속가능한 농촌의 가치-슬로우리본 (Slow Ribbon) |
정은우외1명 | |
|
곡성 느림 우주정거장 |
이현아외1명 | |
|
ZERO 농촌 수확여행 : 영주시로 떠나는 YOUNG 한 주말여행 |
하세빈외2명 | |
|
농촌 유휴공간의 특별한 변신을 돕는 지역형 팝업 클랫폼 로컬팝 Local POP! |
강지오외2명 | |
|
찾아오는 농촌 Grow&Glow |
김채윤외2명 | |
|
슬로우쉼표 in 하동 “한 달의 쉼, 콘텐츠가 되다" |
이현림 | |
|
작물 친구 편지 프로젝트-작물 이야기, 도시와 농촌을 잇다. |
박시현외1명 | |
|
영암 고구마 다문화 온실 페어 |
김서정외2명 | |
|
문학과 함께하는 일일 농촌 스테이 |
노규진 | |
|
사랑은 따스한 풀내음을 타고-풀내음 가득한 연애 예능 로맨스 패키지 여행 |
박현지 | |
|
익숙함에서 벗어나, 마을에서 다시 시작하는 여행-Rebirth to Reverse |
전혜선외2명 | |
|
마음에도 휴식이 필요해~(시범지역: 홍성군) |
황영빈외1명 | |
|
살아보는 농촌, 머무는 청춘-농어촌을 공감하고 지역에 기여하는 청년 정주형 농촌 관광 모델 |
유환 | |
|
꿀스테이 힐링 투어 |
윤규원외2명 | |
|
재미있는 농촌 실험실: ‘거꾸로’ |
손혜련 | |
|
초록 ; 마을정담-이야기가 숨쉬는 나의 작은 초록쉼표 ; 부여 마을정담 |
조석준외1명 | |
|
랜디잇(Randy-it)-”Random + Do it” 무계획이 계획이 되는, 농촌 체험의 새로운 방식- |
구민주외1명 | |
|
러닝 투어리즘 프로젝트, 러닝촌 |
김주왕외1명 | |
|
“반려촌”: 추천인 기반 제 2의 고향 만들기 |
남현주 | |
|
농촌 건강 체험 프로그램 |
장용희 | |
|
전세버스로 전국 터미널 환승하는 농촌 관광: 광역여객운송, 터미널, 전세버스를 연계한 농촌관광 접근성 개선 |
문경림외1명 | |
|
나의 시골일기 |
최원우외1명 | |
|
농촌관광 활성화: '니치 타겟'을 위한 '테마형 빈 공간 전환' 집중 전략 |
김강민 | |
|
봉화 스탬프 챌린지-여정의 흔적을 남기다 |
윤태빈외2명 | |
|
농촌의 맛을 배우고, 멋을 빚다: 6차산업형 체험 관광 |
김주현 | |
|
마음:ON-도시는 끄고, 마음을 켭니다. |
배세은외2명 | |
|
잇는 마을, 여는 내일 : 근린 ON (蘊) |
권보경 | |
|
혼자서도 영동해! 사계절이 있는 여행지 |
한상윤외2명 | |
|
막걸里 십리길 : 열 걸음에 한 잔, 백 걸음에 한 마을 |
서형민 | |
|
도농 1:1 이음도시 프로젝트 |
전지혜외1명 | |
|
농촌 체험, 한눈에 예약하는 스마트 서비스 |
강정서외2명 | |
|
일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감각을 깨우는 전라남도 고흥군 |
김다현외1명 | |
|
막걸리 양조장 투어 제안서 |
박한승 | |
|
RE:SCHOOL 이천-폐교를 활용한 관광 프로젝트 |
김명섭외2명 | |
|
미활용 폐교를 활용한 농촌 관광 활성화 제안서 |
장서연 | |
|
쉼마을 인증제 '리프마크' - 쉼의 기준을 세우다 - |
이성빈외2명 | |
|
군위군 관광 인구 증가와 군 인식 개선 목적의 관광지 개발 사업-군위군, 한 번 와볼군위? |
조은영 | |
|
농촌RPG금요일엔 마을사람-힐링과 농촌의 즐거움이 만나는 곳. 전북 익산 금마마을 |
김선우외1명 | |
|
농촌 랜덤 미션 생존 게임:현실판 농촌 RPG-당신의 농촌 생존기가 시작된다! |
김세연 | |
|
RE:촌 프로젝트-전통과 예술로 농촌을 다시 깨우다 |
강규림외1명 | |
|
“누구나 떠나는 농촌여행” (농촌관광 교통복지 플랫폼 구축 아이디어) |
박유빈외1명 | |
|
(전통)꽃담과 함께 하는 전북 고창 4계절 식도락(樂)의 향기 |
이종근 | |
|
MZ세대를 위한 새로운 농활! 농촌에 활력을! |
김가영 | |
|
논밭 위 포차, 농촌주막 |
원광모 | |
|
치즈만 먹고가기 아쉬워요-치즈 팜투어 관광 활성화 프로그램 |
김지윤외2명 | |
|
“이장님 실종 사건 파일 No.1” – 농촌이 콘텐츠가 되는 순간 |
송가현외1명 | |
|
안동 하회마을 참여형 스토리 야외 방탈출 콘텐츠 “서함, 별들의 기억” |
신혜민외2명 | |
|
성산할망과 함께하는 포트럭파티! 리노팜(Re:No-Farm) 성산할망 |
홍채현외2명 | |
|
지친 일상 속 떠나자! 농촌마을 속 영화 주인공 여행! |
허재혁 | |
|
아이와 나무가 함께 자라는 정원 - 고산 트리움(TREEUM) |
박유담 | |
|
청년이음 프로젝트-여행이 되는 봉사, 살고싶은 농촌 |
인치연외1명 | |
|
특산물로 채우는 여행, 영동 팜플레이 |
유명원외1명 | |
|
농촌 맛집의 패러다임, 촌슐랭 가이드 |
박세호외2명 | |
|
새로운 유산을 향한 국가적 청사진: 평창 크리에이터 길드 |
최명훈 | |
|
농촌 리와인드 프로젝트: 과거로 떠나는 체험형 슬로우 투어리즘 |
강태혁 | |
|
농페패스 |
신희수외2명 | |
|
겨울 농활은 처음이지? |
이지원 | |
|
도심탈출 시나리: 백 투 더퓨촌!-농촌 방탈출 |
이규원외1명 | |
|
에코팜:영농 폐기물의 아름다운 변신 |
유미래외1명 | |
|
농케이션 in 상주-상주에서 일하며 즐기는 농촌 힐링 프로그램 |
고서연외1명 | |
|
디토스(DIgiTal TOSS) "청년이 농촌에게, 디지털 지식을 TOSS” 나도 같이(Ditto)하고 싶게 만드는 체류형 농촌봉사관광 프로젝트 |
배소윤외2명 | |
|
감정 치유를 테마로 한 농촌형 정서 관광 프로그램-유휴 공간을 활용한 농촌 감정 치유 센터 |
조유민 | |
|
촌캉스(미션이 있는 농촌살이 체험) |
정민지외1명 | |
|
농촌 지역 시간대 특화 관광 프로그램, 달로 사는 밤(밤을 살아간다+밤을 구매한다) |
김수민외1명 | |
|
수확기만이 관광자원이 아니다!! 나만의 농산물 성장일지 만들기 프로젝트 |
김경희 | |
|
보령 관광 클러스터 단지, 농촌 관광 클러스터 |
김선주외2명 | |
|
세대 간 협력과 AI 기반 스토리텔링을 통한 제주형 스마트 관광 모델 |
부예진 | |
|
GIS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제주 농촌 체류형 관광루트 제안 |
최윤서외1명 | |
|
나의 초록하루, 농촌에서 |
정유나외1명 | |
|
멍냥한 농촌살이:임실편 |
조예진외1명 | |
|
ROMANTIC Cause you VISIBLE&ACTIVITY |
허승준 | |
|
기억 한 칸-마을에선 잠깐, 기억은 오래 |
장원서외2명 | |
|
귀농귀촌 K-촌스테이-한국형 아그리투리즈모로 농촌에 새 활력을! |
서솔외1명 | |
|
농촌 배지를 활용한 관광 활성화 아이디어 |
박원석 | |
|
지역특산품에 생명을 불어넣다:자연과 스토리텔링으로 빛나는 '순창 실경공연' |
김민경외2명 | |
|
순천 리제너팜-스테이 |
이상현 | |
|
YOUNG 1 한 건 없어 |
이영경외1명 | |
|
농담(農談): 오늘의 농촌 한 접시-시니어 대상 농.특산물 큐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한 농촌관광 활성화 사업 제안 |
전준우외2명 | |
|
썸촌: 시골에서 피어나는 인연 |
임은서외2명 | |
|
열 두번의 하루마을 |
강미선 | |
|
화천으로귀촌할꾼대 |
이예원외2명 | |
|
오늘은 느리게, 완주답게, |
최승원 | |
|
농촌과 도시가 공존하는 환경조성 방안 |
김호진 | |
|
오늘도 힙촌살이 (feat. 해남) |
박정현외2명 | |
|
일상 로그아웃.. 보은 로그인! |
박선우외1명 | |
|
『서먹(書食)한 마을: 도파민 디톡스 문학 여행』 |
진혜원외1명 | |
|
기억을 수확하는 마을 |
김소현 | |
|
청년 일손 나눔 여행단-봉사 인증과 체류형 관광을 연계한 관계 인구 육성 프로그램 |
조정빈외1명 | |
|
팜타지! 농촌과 함께 전래통화 속으로 |
김보민외2명 | |
|
농촌을 달리는 LNC 프로젝트 |
임정빈 | |
|
운탄고도 트레킹 관광 활성화 방안 |
전계현외2명 | |
|
Y2K와 아날로그 감성을 접목한 MZ 농촌 관광 활성화 |
박경서 | |
|
동물과 함께하는 농촌관광 아이디어 상품 |
현다은 | |
|
남원에서 춘향과 이몽룡의 자전거 투어! |
안성연 | |
|
지역 맞춤형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농촌 친화형 공모전 추진 |
김민수 | |
|
“농촌관광”, 농(農)고(Go)농(農) 락(Lock) 잠금 해제로! |
이승민외1명 |
전체.79
투표 | 제목 | 이름 | 제안내용 |
---|---|---|---|
|
‘한국형 가와바마을’ 무주 지전 프로젝트 – 용산구 연계 전원플라자 개발 아이디어 |
이진경 | |
|
「1촌 1경험」 프로젝트― 매달 한 번, 나만의 농촌을 만나는 특별한 체험 |
홍영호 | |
|
RUN촌 – 농촌이 심폐소생 되는 법 - 뛰세요 |
김상화 | |
|
대학교 학과별 농촌마을 연계 교양과목 이수 제안서 |
권성우 | |
|
컨츄 |
하태석 | |
|
YOUNGWOL FOR ALL |
김소원 | |
|
영천 5感만족 프로젝트-별,와이너리,충효,승마,캠핑,트레킹의 발견 |
이승연외1명 | |
|
농촌으로 그린 브릿지 |
김민엽 | |
|
농촌에서 결혼하기 |
이유진 | |
|
농장에서 마음까지, 치유로드 |
나혜미 | |
|
슬로우라이프 기반 남해 농촌관광 활성화 상생 모델 구축 |
강소미 | |
|
랜덤박스 농촌투어 |
이원희외1명 | |
|
농락(農樂, NONG ROCK, 농촌을 즐기다) |
김웅철 | |
|
농어촌을 위한 관계지향형 관광 마케팅:고향 사랑 기부제 '나매기'가 쓰는 남해 소식 담은 '편지' |
김기현외1명 | |
|
농촌과 함께 노는 공간 ‘놀팜존’ |
백종우 | |
|
“고창 정담(情談)로컬투어“ 할머니 할아버지의 따뜻한 정과 맛이 남는 특별한 고창여행길 |
김난슬 | |
|
이음스테이: 관계를 잇다, 지속 가능한 촌캉스 거점 공유 숙소 |
황인철 | |
|
녹색요리사: K-채식x팜투테이블, 나를 위한 치유밥상 - 자기돌봄형 농촌치유관광 모델 제안 - |
마수경 | |
|
『외국인 우퍼 연계형 농촌 영어체험 캠프』정책 제안서 |
조연희 | |
|
느림의 시간, 추억을 짓는 도시락 학교 |
정채은외1명 | |
|
촌캉스 어드벤처: 3일간 촌에서만 가능한 미션형 감성 여행 |
이영호 | |
|
농촌의 밤 헤는 바회 : 청년 런케이션 빌리지 |
김응석외1명 | |
|
맞춤형 체류형 쉼터 지자체 자체 시행을 통한 관광활성화 |
김갑수 | |
|
농촌런 #도심탈출러닝 #진짜풍경런 |
이영주 | |
|
지친 청년들을 위한 농촌 프로그램,‘쉼’ |
한지헌외1명 | |
|
“팬심을 농촌관광으로: K-POP 팬의 마음이 머무는 농촌” |
김도균 | |
|
엉어실 인생숲길을 활용한 스토리 골짜기 프로그램 |
박원배 | |
|
농촌 크리에이터 창작 캠프 - 창작교육 과정 자체가 관광이 되는, 혁신 농촌관광상품 개발 모델 - |
주경자 | |
|
농촌관광, 사람과 AI가 함께 디자인하다 |
이윤희외2명 | |
|
대나무 숲에서 머무는 여행 죽림 스테이 |
한수진외1명 | |
|
치유농업 하러 가자 |
조순연 | |
|
외국인 유학생 대상 ‘농촌관광’ 홍보 방안 |
이다인 외1명 | |
|
농촌 한 바퀴: 그 농촌에 무슨 일이? |
류수민 | |
|
면의 천국, 면천 |
김이슬 | |
|
고향관광 후원제: 내가 선택한 지역에 기부하고, 특별한 관광 경험을 |
김대운외2명 | |
|
우각 옷 입고 우각 마실 다니기 |
이순미 | |
|
도시-농촌 연결 쿠폰 플랫폼 지역자원을 활용한 체류형 농촌관광 유도 모델 |
이선주 | |
|
가고 싶고, 머물고 싶은' 농촌관광 활성화 방안 |
시정민 | |
|
난, 우리 회사가 고친 농촌 빈집으로 휴가 간다 ~ 농촌 빈집! 이제 기업의 휴양 숙박시설로 탈바꿈 합니다. |
김남정 | |
|
스마트 맞춤형 농촌여행 매칭 서비스 “농촌잇다” |
이윤성외1명 | |
|
전국민 농촌 무료 민박(4만원 상당) 이벤트 |
김자겸 | |
|
(D) 디지털 노마드가 (M) 머무르는 연천 농촌관광 (Z) zip |
양현석 | |
|
귀여움 + 신뢰 + 지역상생, 농초니로 연결되는 농촌관광 |
김차영 | |
|
관계인구와 로컬 브랜딩으로 다시 피어나는 농촌: '세화리 모델' 기반의 체류형 농촌관광 활성화 정책 |
노예찬외2명 | |
|
MZ세대 대상 게이미피케이션 접목 농촌 관광 활성화 모델 |
윤건호 | |
|
"농촌 차박·캠핑 활성화를 통한 지역 경제·문화 활성화 방안" : 캠핑족과 농촌 주민 모두를 위한 새로운 상생 모델 |
정정기 | |
|
악양정담(情談), 두 번의 마을 초대장 - 로컬리즘 기반, 관계인구 증대를 위한 농촌관광 모델 - |
정윤서 | |
|
도시 1인 가구 연계 체류형 농촌 쉼 프로젝트「잠시, 시골에 살다」 |
최희진 | |
|
스탬프 찍고! 농촌과 도시를 연결하다! |
위대한 | |
|
탄생목에서 탄소목으로 나무심고, 쉬어가고, 다시 오는 농촌 |
김주희 | |
|
“사계절, 한 마을, 하나의 삶” 어촌과 농촌을 잇는 지속가능형 사계절 관광모델 |
이진솔 | |
|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대한한국의 무궁화마을조성과 K-뮤직문화 AI 헤이온와이 마을 조성 |
김혜린 | |
|
시고르자브종에게 어서와종! |
정하연 | |
|
팜 퀘스트: 도시와 농촌을 잇는 힐링형 퀘스트 참여플랫폼 |
김상민외1명 | |
|
치유부락 |
조병훈 | |
|
"농촌에 살어리랏다! : 1박 2일 공감체험형 교류농촌 구축" |
김진수 | |
|
홍천, 추억의 맛과 건강여행 |
박명수 | |
|
송아지 다마고치 |
최지원 | |
|
“체험코인 플랫폼: 농촌에서 경험을 사고 머문다 – 디지털 농촌관광 참여경제 모델” |
설동준 | |
|
강릉 달빛농촌 프로젝트 |
하정윤외1명 | |
|
차박 스테이 in 웰촌 |
석영준 | |
|
FARMPLAY : 농촌을 즐겨라! (農樂) - 곤포사일리지 미로공원 & 물놀이 농촌 어드벤처 |
허성진 | |
|
농촌에서 캠핑하기 |
심래섭 | |
|
"아따, 축제는 먹으러 가야제~" 충주와 청주 그리고 제천 충청제 |
김윤식 | |
|
“한국인의 밥상”문화와“엄마밥상”의 情을 함께 체험하는 한국농어촌 방문관광 플랫폼 기업 창업 |
이덕규 | |
|
텅 빈 시골집에서, 꽉 찬 내일을 짓다 |
김유빈외1명 | |
|
[폐교와 졸업작품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운영] |
유준상 | |
|
농업·농촌 디지털 디톡스 |
신다용 | |
|
지역특화형 농촌 바캉스 "쉼,표(休)" |
한은민 | |
|
소일촌(小逸村):소소한 일탈을 시골에서 |
조유미 | |
|
생태회복을 위한 지역밀착형 농촌생태관광프로그램 REGREEN |
김미숙 | |
|
영월 '農綠페스티벌(Agreen Festival)' |
이봉호 | |
|
우리사이는?! "0촌" |
김나경 | |
|
전국 꽃나무 보물지도 프로젝트 |
조성욱 | |
|
K-미션 어드벤처 “농촌의 보물찾기 미션을 통해 대한민국을 누빈다” |
김명덕 | |
|
K-POP 아이돌 연계 ‘내 아이돌의 마을 체험하기’ 순환형 농촌관광 프로젝트 |
설경인 | |
|
흥나는 폐교 테마 스탬프 투어 Go! : 고흥군 폐교 테마 스탬프 투어 |
우성영 | |
|
MISSION:랜덤마을 - 목적지 비공개+현실형 스토리게임, 농촌관광의 새로운 여행방식 |
윤수철 | |
|
모션 인식 기반의 인터랙티브 농촌 체험 콘텐츠 |
조유정외1명 |
전체.7
투표 | 분류 | 제목 | 이름 | 제안내용 |
---|---|---|---|---|
|
대학원생 |
농촌체험휴양마을과 둘레길 연계의 통합적 가치와 지속가능한 활성화 전략-수렴적 혼합연구 적용- |
오한솔외2명 | |
|
대학원생 |
온라인 후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국민 체감 기반 농촌관광 조례 개선 방향 제안 |
김근현외1명 | |
|
일반 |
AI 기반 숙의를 통한 농촌관광 활성화 연구-농촌관광 실태조사 기반 RAG 시스템과 AI 페르소나- |
황진경외2명 | |
|
대학원생 |
농촌관광지 포트폴리오 전략 연구: 성장성, 계절성, 규모의 다차원 분석을 통한 차별화된 활성화 방안 |
정연찬 | |
|
대학원생 |
비정형 텍스트를 이용한 체류형 관광 네트워크의 분석 및 시각화-‘남도에서 한 달 여행하기’를 대상으로- |
김서연외1명 | |
|
일반 |
농촌관광 속성별 만족도 프로파일에 따른 재방문 의도 차이 분석-사람중심 접근법을 활용한 2020년과 2022년 비교 연구- |
오현성외1명 | |
|
대학원생 |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와 지식재산권(상표권)의 매개효과 분석 |
김대길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
이름 | |
---|---|
휴대폰 |
제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