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청하신 정보를 조회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밭’은 ‘얼음판’으로 ‘암벽’은 ‘빙벽’으로 변신한 ‘초리넝쿨마을‘의 겨울
‘밭’은 ‘얼음판’으로 ‘암벽’은 ‘빙벽’으로 변신한 ‘초리넝쿨마을‘의 겨울
초리넝쿨마을은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상곡 골짜기에 아무도 살지 않았을 때 상곡(裳谷)  골짜기로 들어가는 입구에 가장 먼저 생긴 첫 마을이라 하여 '초리(初里)'라는 지명이 붙었다. 조용하고 소박한 초리마을은 농지면적보다 산지면적이 더 넓은 산촌마을에 가까운 마을이다. 적상산(赤裳山)을 마주 보고 있는 마을로 ‘칡’을 주제로 한 상품을 만들어서 팔고 있어 넝쿨마을이라 불리기도 한다. 마을에 들어서면 적상산의 암벽이 빙벽으로 변신해 겨울축제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초리넝쿨마을에는 현재 약 58가구가 거주하고 있다. 그래서 사실 울타리만 쳐 있다 뿐이지 다 가족 같은 이웃이다. 마을 둘러보다보니 재밌는 문패가 가가호호 걸려있다. 세상에 단 하나뿐인 특별한 문패들이다. “무엇이든 잘 만드는 딱부리”, “손맛이 좋은 숫골댁” 문패에는 거주하고 있는 집주인의 얼굴이 그려져 있고 집주인의 특성을 새겨 넣었다. 집주인을 실제로 만나지 않아도 이 집에 누가 살고 있는지 한눈에 알 수 있는 개성 넘치는 문패다.  ▲ 마을 집집마다 걸려있는 이색 문패 마을은 2011년 전라북도 향토 산업 마을 만들기에 선정되어 갈포 체험장을 만들었다. 2012년 녹색 농촌 체험 마을로 선정되어 마을 공동 농산어촌 체험장을 신설하였다가 2014년 농촌 체험 휴양 마을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 논밭이 썰매장과 어장으로 변신? 가을 추수를 마친 초리마을의 겨울 논밭은 멋진 썰매장으로 변신한다. 늦가을 논에 채워놓은 물이 겨울철 낮은 기온에 물이 꽁꽁 얼어 자연스럽게 빙판이 된다. 값비싼 눈썰매장이 부럽지 않다.  얼음판 위에 발을 디디자 얼음 속으로 볏짚이 비쳐 이곳이 원래 논밭이었던 것을 알린다. 입장료는 무료 썰매 대여료 3천원에 시간 무제한으로 시골 썰매를 즐길 수 있다. 대여해주는 모든 썰매는 마을 어르신들이 손수 만든 썰매다. 혼자 타는 1인용 썰매부터 부부와 연인이 함께 탈 수 있는 2인용 썰매까지 다양하게 준비돼 있다. 무엇보다 인기인 썰매는 대야로 만든 이색적인 썰매가 가장 인기다. 빙판 위에서 썰매에 올라타 즐기는 것은 남녀도소 할 것 없다. 아이들은 쉽게 접하지 못했던 즐거움에 어른들은 옛 시골의 추억에 시간가는 줄 모르고 썰매를 즐긴다.  ▲ 마을 썰매장으로 탈바꿈한 논밭 “하나, 둘, 셋 출발!” 사회자의 출발 신호가 떨어지기가 무섭게 아빠들이 아이를 태운 썰매에 매달린 끈을 잡고 태우고 매섭게 달려 나간다. 반환점인 꼬깔봉을 돌아 누가 가장먼저 되돌아오나 썰매달리기 시합이다. 만국기가 수놓은 썰매장 하늘아래 초리마을의 소박한 동계올림픽이 열린다. 달리면서 넘어지기도 하고 방향을 잡지 못해 다른 반환점을 돌기도 하는 등 다양한 진풍경이 펼쳐진다. 시합이니 1등, 2등, 3등 순위가 매겨지지만 모두가 재밌게 즐긴 참가자들 모두가 승자다. 이번엔 울타리에 물을 가둬 만든 논밭 위 어장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준비 위원들이 양동이에 가득 송어를 담아 어장에 풀어놓자 마치 먹물이 종이에 번지듯 사방으로 송어들이 헤엄쳐 나간다. 그 시각 밖에서는 맨손송어잡기에 참여하려는 참가자들이 방수 멜빵바지를 입고 한손에는 봉지를 손에 들고 대기하고 있다. 1인 1마리의 규칙이 정해져 있지만 월척을 잡기위해 참가자들 눈에 힘이 잔뜩 들어갔다.  ▲ 맨손송어잡이에서 잡은 송어는 구이 또는 회로 즉석에서 맛볼 수 있다. “자 이제 들어오세요”라는 사회자의 안내 멘트에 따라 모두 물속으로 들어오자 여기저기서 “아이고 추워”라는 신음소리가 들린다. 그것도 잠시 “시작!”이라는 구령 소리가 떨어지자 추위는 잊은 듯 송어를 쫓기 위해 몸을 이리저리 바삐 움직인다. 물에 빠지거나 첨벙 거리는 물에 옷이 젖지만 입가의 미소만큼은 잃어버리지 않는다.  “30초 남았습니다”란 사회자의 안내 멘트에 다들 송어를 쫓는 눈과 손이 더욱 바빠진다. 단체 참가자들은 협동심을 발휘해 잡고, 개인 참가자들은 노련함으로 잡는다. “자! 그만~”이란 멘트가 나오자 희비가 엇갈린다. 체험장은 잡지 못한 아쉬움의 탄성과 월척을 잡은 사람들의 환호가 뒤섞인다. 이 축제의 모토인 ‘나눔’답게 주최측은 아쉬워하는 참가자들에게 송어를 한 마리씩 나눠준다. 이렇게 체험을 통해 잡은 송어는 회나 구이로 즉석에서 맛볼 수 있다.  # 입도 즐겁고 눈도 즐거운 체험으로 변신한 특산물 그렇게 한바탕 빙판위에서 놀고 나니 허기가 진다. 추위에 에너지를 빼앗긴 탓이다. 바로 옆 마을에서 축제 기간에 마련한 돔텐트 모양의 간이식당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그 앞에서는 초리마을의 특산물 중 하나인 밤으로 군밤으로 만들어 먹는 체험이 열리고 있다.  ▲ 장작불 화로에 구워 먹는 밤과 라면 독특한 풍경이 눈길을 끈다. 저마다 네모난 망을 장작불에 올린 후 이리저리 돌리고 있다.   바로 이 도구의 정체는 밤을 굽는 도구로 마을에 솜씨 좋은 어르신이 만드신 도구란다.  알밤 손질 안 해도 되고 튈 염려도 없어 정말 기발한 아이디어의 도구다.  네모난 망에 밤을 넣고 약 10분 동안 이리저리 돌리면 노릇노릇 구수한 향기 풍기는 군밤이 완성된다. 막 꺼낸 밤에는 기다리다 지친 손들이 모여든다. 급한 마음에 주워들은 사람들은 다들 “아 뜨거”하면서도 후후 불어가며 군밤을 입에 넣는다. 구수하면서 달달한 군밤이 시골의 맛처럼 느껴진다.  이번엔 군대에서 쓰는 반합에 물을 채워 라면을 끓여 먹어본다. 아이들은 파이어스틱으로 불꽃을 만들어 직접 불을 붙여보기도 한다. 보글보글 물이 끓자 라면 사리와 스프를 놓고 3분쯤 끓이자 꼬들꼬들한 라면이 완성된다. 겨울철 야외에서 맛보는 라면만큼 허기를 달래주는 음식도 없다. 이렇게 완성된 라면과 군밤을 더욱 운치 있게 맛볼 수 있도록 한편에는 소나무를 잘라 만든 움막이 설치되어 있다. 그 안에서 입김 불어가며 후루룩 한 입 먹고 뜨끈한 국물 한 모금이면 추위는 어느새 온데간데없다.  야외의 체험은 자연스럽게 실내로 이어진다. 마을에서 운영 중인 황토방 펜션을 지나 몇 발자국 옮기면 체험장이 나온다. 초리넝쿨마을은 자칫 유후 시설이 될 뻔한 공간을 마을 주민들의 소통을 위한 공간으로 재탄생시켜 방문객들을 맞고 있다. 체험센터를 리모델링해 1층은 ‘마을카페초리’, 2층은 ‘마을학교초리’로 재생한 것. 상업적이고 사사로운 카페나 학교가 아닌, 그야말로 주민들에 의한, 주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재탄생한 것이다. 때문에 이 공간이 더 정겨운 이유다. 밖에서는 몸으로 즐기는 활동적인 체험이었다면 실내에서는 정신 집중이 필요한 체험이다.  ▲ 맷돌로 원두를 갈아 내려먹을 수 있는 커피체험 로스팅, 핸드드립, 포토머그컵 만들기를 체험할 수 있는 체험장을 만난다. 또 마을에선 잊혀 가는 갈포를 이용한 해 만든 다양한 공예품도 만나볼 수 있다. 생두에 열을 가해 볶는 로스팅 작업은 원두가 어떻게 커피로 변화하는지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커피 마니아들에게는 신선한 커피를 바로 맛볼 수 있는 기회도 가질 수 있다. 막 로스팅을 끝낸 원두를 핸드드립으로 내려 먹기 위해 맷돌을 이용해 간다. 핸드드립에 맞게 굵은 소금정도 입자 크기로 갈린 원두로 핸드드립으로 커피를 내린다. 창밖으로 보이는 초리마을을 보며 마시는 커피는 마을에서 보낸 하루에 여운을 남긴다.  [마을 정보] 주소: 전북 무주군 적상면 초리길 6 연락처: 010-9349-3699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mujuchori [마을 안내] 초리넝쿨마을은 2017년 1월 현재 58가구, 105명[남 48명/여 57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주요 농작물로 고추, 벼, 머루, 다래, 감자 등이 있으며, 갈포(葛布: 칡덩굴 껍질로 짠 직물)를 이용한 다양한 공예품을 생산하고 갈포 체험, 문화 체험, 생태 체험을 통해 도시민의 체험 마을로 자리하고 있다.  [숙박 안내] 숙박 시설로는 반디방, 초리방, 넝쿨방의 펜션 3개동이 있다. 모두 황토로 지어져 여름에는 시원하게, 겨울에는 따뜻한 휴식이 가능하다. 1일 최대 20명 정도 묵을 수 있다. [주변 농촌여행지 안내] 무주머루와인동굴 무주양수발전소 건설 당시 굴착 작업용 터널로 사용하던 곳이다. 빛을 차단하고 일정하게 온도가 유지되는 터널이 오늘날에 와서 최고의 와인 숙성 저장고로 변신했다. 무주군의 산머루로 와인을 만들고 이곳에서 숙성, 저장, 판매하니 방문자들에게도 특별한 경험이 된다. 몸과 마음을 풀어주는 와인 족욕이 여행자들에게 인기 체험이다.  주소: 전북 무주군 적상면 산성로 359  연락처: 063-322-4720 홈페이지: http://tour.muju.go.kr/ 무주 트리스쿨 트리스쿨에서는 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들에게 나무의 소중함을 알리고 ‘나무를 이용한 만드는 즐거움’을 통해 창의력을 키우고 자연과 하나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트리스쿨의 목공체험 프로그램은 한창 자라나는 아이들이 여러 가지 도구들을 이용하여 나무를 다듬고 조립하는 과정을 통해 완성품을 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두뇌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목공체험은 단순한 체험이 아닌 자연과 기쁨을 통해 쌓이는 ‘학습’이다. 트리스쿨에서는 어린이들을 위한 목공체험뿐만 아니라 청소년과 어른들을 위한 목공예 체험교실도 열고 있다. 국산 원목과 고가의 장비를 이용해 서각, 찻상, 꽃병 및 예술품을 만들 수 있는 목공예체험은 마음을 평온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어 성인의 취미생활로도 인기를 얻고 있다. 주소: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무주로 1788-9 연락처: 063-324-3392
  • 지역 : 전북 무주군
  • 장소 : 초리넝쿨마을
672
  • 마을 바로가기
초리넝쿨마을 전북 무주군 적상면 초리길 6
2018-12-19

초리넝쿨마을은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상곡 골짜기에 아무도 살지 않았을 때

상곡(裳谷)  골짜기로 들어가는 입구에 가장 먼저 생긴 첫 마을이라 하여 '초리(初里)'라는 지명이 붙었다.

조용하고 소박한 초리마을은 농지면적보다 산지면적이 더 넓은 산촌마을에 가까운 마을이다.

적상산(赤裳山)을 마주 보고 있는 마을로 ‘칡’을 주제로 한 상품을 만들어서 팔고 있어 넝쿨마을이라 불리기도 한다.


ㅇ


마을에 들어서면 적상산의 암벽이 빙벽으로 변신해 겨울축제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초리넝쿨마을에는 현재 약 58가구가 거주하고 있다.

그래서 사실 울타리만 쳐 있다 뿐이지 다 가족 같은 이웃이다.

마을 둘러보다보니 재밌는 문패가 가가호호 걸려있다. 세상에 단 하나뿐인 특별한 문패들이다.

“무엇이든 잘 만드는 딱부리”, “손맛이 좋은 숫골댁”

문패에는 거주하고 있는 집주인의 얼굴이 그려져 있고 집주인의 특성을 새겨 넣었다.

집주인을 실제로 만나지 않아도 이 집에 누가 살고 있는지 한눈에 알 수 있는 개성 넘치는 문패다. 


ㄴ

▲ 마을 집집마다 걸려있는 이색 문패


마을은 2011년 전라북도 향토 산업 마을 만들기에 선정되어 갈포 체험장을 만들었다.

2012년 녹색 농촌 체험 마을로 선정되어 마을 공동 농산어촌 체험장을 신설하였다가

2014년 농촌 체험 휴양 마을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 논밭이 썰매장과 어장으로 변신?


가을 추수를 마친 초리마을의 겨울 논밭은 멋진 썰매장으로 변신한다.

늦가을 논에 채워놓은 물이 겨울철 낮은 기온에 물이 꽁꽁 얼어 자연스럽게 빙판이 된다. 값비싼 눈썰매장이 부럽지 않다. 


얼음판 위에 발을 디디자 얼음 속으로 볏짚이 비쳐 이곳이 원래 논밭이었던 것을 알린다.

입장료는 무료 썰매 대여료 3천원에 시간 무제한으로 시골 썰매를 즐길 수 있다.

대여해주는 모든 썰매는 마을 어르신들이 손수 만든 썰매다.

혼자 타는 1인용 썰매부터 부부와 연인이 함께 탈 수 있는 2인용 썰매까지 다양하게 준비돼 있다.

무엇보다 인기인 썰매는 대야로 만든 이색적인 썰매가 가장 인기다. 빙판 위에서 썰매에 올라타 즐기는 것은 남녀도소 할 것 없다.

아이들은 쉽게 접하지 못했던 즐거움에 어른들은 옛 시골의 추억에 시간가는 줄 모르고 썰매를 즐긴다. 


ㄴ

▲ 마을 썰매장으로 탈바꿈한 논밭


“하나, 둘, 셋 출발!” 사회자의 출발 신호가 떨어지기가 무섭게 아빠들이 아이를 태운 썰매에 매달린 끈을 잡고 태우고 매섭게 달려 나간다.

반환점인 꼬깔봉을 돌아 누가 가장먼저 되돌아오나 썰매달리기 시합이다.

만국기가 수놓은 썰매장 하늘아래 초리마을의 소박한 동계올림픽이 열린다.

달리면서 넘어지기도 하고 방향을 잡지 못해 다른 반환점을 돌기도 하는 등 다양한 진풍경이 펼쳐진다.

시합이니 1등, 2등, 3등 순위가 매겨지지만 모두가 재밌게 즐긴 참가자들 모두가 승자다.


이번엔 울타리에 물을 가둬 만든 논밭 위 어장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준비 위원들이 양동이에 가득 송어를 담아 어장에 풀어놓자 마치 먹물이 종이에 번지듯 사방으로 송어들이 헤엄쳐 나간다.

그 시각 밖에서는 맨손송어잡기에 참여하려는 참가자들이 방수 멜빵바지를 입고 한손에는 봉지를 손에 들고 대기하고 있다.

1인 1마리의 규칙이 정해져 있지만 월척을 잡기위해 참가자들 눈에 힘이 잔뜩 들어갔다. 


ㄴ

▲ 맨손송어잡이에서 잡은 송어는 구이 또는 회로 즉석에서 맛볼 수 있다.


“자 이제 들어오세요”라는 사회자의 안내 멘트에 따라 모두 물속으로 들어오자 여기저기서 “아이고 추워”라는 신음소리가 들린다.

그것도 잠시 “시작!”이라는 구령 소리가 떨어지자 추위는 잊은 듯 송어를 쫓기 위해 몸을 이리저리 바삐 움직인다.

물에 빠지거나 첨벙 거리는 물에 옷이 젖지만 입가의 미소만큼은 잃어버리지 않는다. 


“30초 남았습니다”란 사회자의 안내 멘트에 다들 송어를 쫓는 눈과 손이 더욱 바빠진다.

단체 참가자들은 협동심을 발휘해 잡고, 개인 참가자들은 노련함으로 잡는다.

“자! 그만~”이란 멘트가 나오자 희비가 엇갈린다. 체험장은 잡지 못한 아쉬움의 탄성과 월척을 잡은 사람들의 환호가 뒤섞인다.

이 축제의 모토인 ‘나눔’답게 주최측은 아쉬워하는 참가자들에게 송어를 한 마리씩 나눠준다.

이렇게 체험을 통해 잡은 송어는 회나 구이로 즉석에서 맛볼 수 있다. 



# 입도 즐겁고 눈도 즐거운 체험으로 변신한 특산물


그렇게 한바탕 빙판위에서 놀고 나니 허기가 진다. 추위에 에너지를 빼앗긴 탓이다.

바로 옆 마을에서 축제 기간에 마련한 돔텐트 모양의 간이식당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그 앞에서는 초리마을의 특산물 중 하나인 밤으로 군밤으로 만들어 먹는 체험이 열리고 있다. 


ㄴ

▲ 장작불 화로에 구워 먹는 밤과 라면


독특한 풍경이 눈길을 끈다. 저마다 네모난 망을 장작불에 올린 후 이리저리 돌리고 있다.  

바로 이 도구의 정체는 밤을 굽는 도구로 마을에 솜씨 좋은 어르신이 만드신 도구란다. 

알밤 손질 안 해도 되고 튈 염려도 없어 정말 기발한 아이디어의 도구다. 


네모난 망에 밤을 넣고 약 10분 동안 이리저리 돌리면 노릇노릇 구수한 향기 풍기는 군밤이 완성된다.

막 꺼낸 밤에는 기다리다 지친 손들이 모여든다.

급한 마음에 주워들은 사람들은 다들 “아 뜨거”하면서도 후후 불어가며 군밤을 입에 넣는다.

구수하면서 달달한 군밤이 시골의 맛처럼 느껴진다. 


이번엔 군대에서 쓰는 반합에 물을 채워 라면을 끓여 먹어본다. 아이들은 파이어스틱으로 불꽃을 만들어 직접 불을 붙여보기도 한다.

보글보글 물이 끓자 라면 사리와 스프를 놓고 3분쯤 끓이자 꼬들꼬들한 라면이 완성된다.

겨울철 야외에서 맛보는 라면만큼 허기를 달래주는 음식도 없다.

이렇게 완성된 라면과 군밤을 더욱 운치 있게 맛볼 수 있도록 한편에는 소나무를 잘라 만든 움막이 설치되어 있다.

그 안에서 입김 불어가며 후루룩 한 입 먹고 뜨끈한 국물 한 모금이면 추위는 어느새 온데간데없다. 


야외의 체험은 자연스럽게 실내로 이어진다. 마을에서 운영 중인 황토방 펜션을 지나 몇 발자국 옮기면 체험장이 나온다.

초리넝쿨마을은 자칫 유후 시설이 될 뻔한 공간을 마을 주민들의 소통을 위한 공간으로 재탄생시켜 방문객들을 맞고 있다.

체험센터를 리모델링해 1층은 ‘마을카페초리’, 2층은 ‘마을학교초리’로 재생한 것. 상업적이고 사사로운 카페나 학교가 아닌,

그야말로 주민들에 의한, 주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재탄생한 것이다.

때문에 이 공간이 더 정겨운 이유다. 밖에서는 몸으로 즐기는 활동적인 체험이었다면 실내에서는 정신 집중이 필요한 체험이다. 


ㄴ

▲ 맷돌로 원두를 갈아 내려먹을 수 있는 커피체험


로스팅, 핸드드립, 포토머그컵 만들기를 체험할 수 있는 체험장을 만난다.

또 마을에선 잊혀 가는 갈포를 이용한 해 만든 다양한 공예품도 만나볼 수 있다.

생두에 열을 가해 볶는 로스팅 작업은 원두가 어떻게 커피로 변화하는지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커피 마니아들에게는 신선한 커피를 바로 맛볼 수 있는 기회도 가질 수 있다.

막 로스팅을 끝낸 원두를 핸드드립으로 내려 먹기 위해 맷돌을 이용해 간다.

핸드드립에 맞게 굵은 소금정도 입자 크기로 갈린 원두로 핸드드립으로 커피를 내린다.

창밖으로 보이는 초리마을을 보며 마시는 커피는 마을에서 보낸 하루에 여운을 남긴다. 


ㄴ


ㄴ



[마을 정보]


주소: 전북 무주군 적상면 초리길 6

연락처: 010-9349-3699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mujuchori


[마을 안내]


초리넝쿨마을은 2017년 1월 현재 58가구, 105명[남 48명/여 57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주요 농작물로 고추, 벼, 머루, 다래, 감자 등이 있으며, 갈포(葛布: 칡덩굴 껍질로 짠 직물)를 이용한 다양한 공예품을 생산하고 갈포 체험, 문화 체험, 생태 체험을 통해 도시민의 체험 마을로 자리하고 있다. 


[숙박 안내]


숙박 시설로는 반디방, 초리방, 넝쿨방의 펜션 3개동이 있다. 모두 황토로 지어져 여름에는 시원하게, 겨울에는 따뜻한 휴식이 가능하다. 1일 최대 20명 정도 묵을 수 있다.


[주변 농촌여행지 안내]


무주머루와인동굴

무주양수발전소 건설 당시 굴착 작업용 터널로 사용하던 곳이다. 빛을 차단하고 일정하게 온도가 유지되는 터널이 오늘날에 와서 최고의 와인 숙성 저장고로 변신했다. 무주군의 산머루로 와인을 만들고 이곳에서 숙성, 저장, 판매하니 방문자들에게도 특별한 경험이 된다. 몸과 마음을 풀어주는 와인 족욕이 여행자들에게 인기 체험이다. 

주소: 전북 무주군 적상면 산성로 359 

연락처: 063-322-4720

홈페이지: http://tour.muju.go.kr/


무주 트리스쿨

트리스쿨에서는 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들에게 나무의 소중함을 알리고 ‘나무를 이용한 만드는 즐거움’을 통해 창의력을 키우고 자연과 하나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트리스쿨의 목공체험 프로그램은 한창 자라나는 아이들이 여러 가지 도구들을 이용하여 나무를 다듬고 조립하는 과정을 통해 완성품을 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두뇌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목공체험은 단순한 체험이 아닌 자연과 기쁨을 통해 쌓이는 ‘학습’이다. 트리스쿨에서는 어린이들을 위한 목공체험뿐만 아니라 청소년과 어른들을 위한 목공예 체험교실도 열고 있다. 국산 원목과 고가의 장비를 이용해 서각, 찻상, 꽃병 및 예술품을 만들 수 있는 목공예체험은 마음을 평온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어 성인의 취미생활로도 인기를 얻고 있다.

주소: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무주로 1788-9

연락처: 063-324-3392

공공누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1유형 :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정보수정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