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메뉴

촌캉스 길잡이 촌식이

AI 촌식이

촌캉스 길잡이 촌식이 첫 마디
안녕하세요?
웰촌의 촌캉스 길잡이 "AI촌식이"입니다.
농촌여행에 대해 언제든지 AI촌식이에게 물어보세요.

가고 싶은 지역명이나, 체험프로그램 내용으로 질문하시면 보다 정확한 답변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AI 촌식이는 잘못된 답변을 할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확인해 주세요.

지금 웰촌

[경상권] 개실마을

2023-06-26

계절·테마 여행코스

[경상권] 개실마을

#경북고령 #개실마을 #고령향교 #대가야박물관 #대가야생활촌
446
출발
  1. 개실마을 7.48km
  2. 고령향교 1.03km
  3. 대가야박물관 km

여행코스정보 지도로 보기

1개실마을

경북 고령군 개실마을



개실마을

개실마을 풍경


고령군 쌍림면 개실마을은

 조선 연산군 때, 무오사화로 화를 입은

영남 사림학파의 종조 점필재 김종직의 5대손이 

1650년경, 피신 와서 자리 잡은 마을로,

선산 김씨들이 모여 사는 집성촌 한옥마을이다.


당시 이 마을은 ‘꽃이 피는 아름다운 골’이라는 의미로 

개화실로 불렸는데, 음이 변하여 개실로 불리고 있다. 


한옥마을 내에는

점필재 종택을 비롯해 오래된 건축물들이 즐비해

마을을 돌아보는 것만으로도 

옛 시대로 돌아간 기분을 느낄 수 있다.


개실마을

점필재 종택 입구


이중 마을의 대표적인 건축물인 점필재 종택이다.

 안채는 1800년경에 건립, 1878년에 중수했고, 

사랑채는 1812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개실마을개실마을

점종필 종택 내부


마을 뒷산을 등지고 완만한 경사를 이룬 터에 

남동향으로 자리를 잡고 있으며 

안채, 사랑채, 중사랑채, 사당 등으로 구성돼 있다.

건물 내에는 점필재 유품 및 종가문서가 보관돼 있다.


개실마을

점종필 종택 풍경


현재 100여 명이 거주하고 있는 개실마을은

전통방식대로 제사와 차례를 지내는 선비의 마을이나

농촌체험휴양마을로 지정된 이후

전국적으로 알려져 많은 사람이 찾고 있다고.

특히 아름다운 한옥에서 하룻밤 묵으면서

다양한 체험 활동에도 참여할 수 있어,

가족 단위 여행객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다.


-


주소: 경북 고령군 쌍림면 합가리 243-5 개실마을

문의: 054-956-4022

한옥 스테이 예약: https://www.gaesil.net/bbs/board.php?bo_table=reserv&cp_code=2WBzmDjCKaRAd69v1ZoS

홈페이지: http://www.gaesil.net/

2고령향교

고령향교


고령향교

고령향교 입구 (출처: 한국관광공사)

 

경북 고령군 대가야읍 연조리에 있는 조선 시대 향교로

지금의 학교와 같은 역할을 한 곳이다.

과거 시험을 위한 교육기관이자 

옛 선비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역할을 했다.


정확한 창건 연대는 확인할 길이 없으나

임진왜란 때 향교가 위험에 처한 후 오랫동안 복구하지 못하다가

1702년 당시 고령 현감이 현재의 장소로 옮겨 세웠다.


고령향교고령향교

고령향교 풍경(출처: 한국관광공사) / 고령향교 사당(출처: 문화재청) 


이곳에는 우리나라 선비 18분의 위패가 있는데,

이를 문묘 18현이라고 부른다.

또 경내에는 교육공간이던 명륜당과 

제사를 지내던 대성전, 그리고 동부, 서무, 내삼문 등이 있는데,

이 중 명륜당과 대성전은 1,700년대 초 건축의 골격이 남아 있다고.


경북문화재자료 제229호로 지정된 고령향교는 

18세기 이후 건립된 경북지방 향교 건축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


주소: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향교길 29-18(연조리 608)

문의 054-950-6763

홈페이지: http://gohyanggyo.co.kr/

3대가야박물관

대가야박물관 & 대가야생활촌


대가야박물관

왕릉전시관 (출처: 대가야박물관 홈페이지)


가야는 신라보다도 먼저 강력한 철기문화를 발전시키고,

고구려, 백제, 신라와 경쟁하기도 했던 나라다.

특히 대가야는 금관가야가 쇠퇴한 5세기 이후

가야연맹의 맹주로 활약했었는데, 

그들의 도읍지가 바로 고령군 일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고령군에서는 대가야와 관련된 역사와 문화를 

공부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잘 마련돼 있는데,

대표적인 곳이 바로 대가야박물관과 대가야생활촌이다.


대가야박물관대가야박물관

우륵박물관 외관(출처: 대가야박물관 홈페이지) / 왕릉전시관 야외(출처: 대가야박물관 홈페이지) 


고려향교 바로 옆에 자리한 대가야박물관은

 우리나라 최초로 확인된 최대 규모의 대가야시대 순장 무덤인 

지산리 44호 무덤을 복원한 '대가야왕릉전시관', 

대가야를 중심으로 고령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전시한 '대가야역사관', 

악성 우륵과 가야금을 체계적으로 재조명한 '우륵박물관' 등으로 구성돼 있다.


-


주소: 경북 고령군 대가야읍 대가야로 1203

문의: 054-950-7103

이용 안내: 11월~2월 09:00~17: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관람료: 일반 2,000원, 청소년 1,500원 

홈페이지: http://www.daegaya.net/

-


대가야박물관

대가야생활촌 모습 (출처: 대가야생활촌 홈페이지)


 2019년에 개장한 대가야생활촌은

 대가야의 역사와 문화를 재현한 곳으로, 

1,500년 전 대가야시대로 안내해주는 인트로 영상관, 

대가야 시대의 전통복식을 대여할 수 있는 복식 체험장,

대가야의 생활상을 재현한 인줄 마을, 

철기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불묏골 등 

다양한 전시와 체험관이 마련돼 있으며

기와마을과 초가마을로 이루어진 현대식 숙박시설 한기촌이 있다.


-


주소: 경북 고령군 대가야읍 신남로 81

문의: 054-950-7180

(먹거리촌 운영 등에 대해서는 유동적이므로 사전 확인 필요)

이용 시간: 11월~2월 09:00~17:00(16:30 마감) 

휴관일: 매주 월요일

입장료: 성인 5,000원, 청소년 4,000원, 어린이 3,000원 (체험료 별도)

숙박시설: 총 20객실, 2인실~8인실까지 다양한 크기 객실 보유

예약사이트: https://mall.goryeong.go.kr/UseInfo

웰촌이장
촌식이